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하루 2시간만 일한다고?

불과 20년 전만 하더라도, 공장에서 반복된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스마트폰이 당연해진 2018년. 지금은 매일 전달되는 수많은 정보들 속에 의미 있는 정보들을 정제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한 '지식근로자(Knowledge Worker)' 의 시대다.  

 근무시간 8시간, 협업에 6시간을 할애하다.
지식근로자의 하루 8시간 중 70%를 협업에 사용한다.

Mckinsey와 한국생산성본부의 ! 보고서를 종합하면, 지식근로자는 주 업무에 하루 2.4시간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나머지 시간은 메일 및 메신저 답장에 2.2시간, 회의 및 보고에 2.1시간, 지난 자료나 정보를 검색하는데 1.3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는 하루 8시간 중, 70%에 해당하는 시간을 협업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검색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더 높은 퀄리티를 원하는 시장의 요구가 강해지면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을 통해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프로젝트성 업무가 지식근로자들의 보편적인 형태가 되었다. 지식근로자가 70%의 시간을 협업 커뮤니케이션과 정보검색에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예고없이 들이닥치는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 시간.

다만, 이 과정 속에 참여이유를 알 수 없는 회의가 늘어가고, 이미 전달한 자료를 다시 달라고 한다던지, 틈틈이 진행상황을 물어보는 동료들이 늘어가면서 너무 많은 시간이 낭비되곤 한다. 그럼 남은 2.4시간은 나의 온전한 시간으로 쓸 수 있을까? 그 마저도 주로 메신저로 대화하게 되면서 끊임없이 울러대는 알림과 메시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주어지지 않는다. 집중할 시간이 길어져야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낳는 '지식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우리는 방해받지 않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설계자 : 조엘 스폴스키(Joel Spolsky)

누구나 방해받지 않는 긴 시간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다. 그렇다면 집중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까? 마이크로소프트 엑셀(Microsoft Excel)의 설계자 조엘 스폴스키(Joel Spolsky)는 집중의 영역(Zone)에 들어가기 위해 최소 15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집중에 들어가는 과정은 수면에 들어가는 과정과 비슷하다. 수면은 5단계로 나뉘며 1~2단계(약 10분)의 '얕은 ! 수면'을 지나서야 3~4단계(약 45분)의 '깊은수면'이! 진행된다. 위 1시간의 비렘수면(NONREM) 단계를 모두 지나서야 가장 깊은 수면인 5단계의 렘수면(REM)에 도달한다. 집중에 빠져드는 과정도 이와 같다. 

한 순간의 방해를 받기만 해도 다시 1단계부터 시작해야 한다.

15분. 집중에 들어가는 동안 가만히 있을 당신의 동료들이 아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Dr. Gloria Mark 교수의 연구! 에 따르면 지식근로자들은 평균 15분에 한번씩 방해받고 있다고 말했다. 집중하는데 15분이 걸리는데, 15분에 한 번씩 방해라니. 도대체 언제 집중하란 말인가. 더 큰 문제는 아까 그 생각으로 돌아가려면 1단계 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는 처음 집중하는 시간의 2배인, 30분 이상의 시간을 거쳐야만 한다.



연속적인 시간을 사용해야 한다.
!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우리는 희소한 자원인 시간을 활용하여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 한다. 최고의 결과물은 높은 몰입과 직결된다. 현실은 촉박한 시간과 쌓여있는 업무로 인해 걱정과 불안으로 높은 몰입을 꿈꿀 수 없다. 몰입이 되기 전에 우리는 동시에 �! ��은 일을 진행하여 그저그런 결과물을 내놓게 되지 �! �나. 경영학의 아버지인 피터드러커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연속적인 시간을 사용해야 된다.
생각할 시간이 짧게 쪼개져 있으면, 
아무리 많은 시간을 쏟더라도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제안서 하나의 초고를 작성하더라도 4~5시간이 걸리는데, 이런저런 방해들로 틈틈이 나눠서 며칠동안 완성하는 결과물이 괜찮을 ! 수 있을까? 그때마다 남는 결과물은 완성되지 않은 끄적인 메모일 뿐일 때가 많을 것이다. 나를 방해할 수 있는 것들을 차단하고 연속된 시간을 사용해 높은 몰입을 시도해보자. 퀄리티 있는 완성된 제안서를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사무실 내에서 통제할 수 없는 현실을 부딪혀야 한다.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한, 내 업무는 비효율적으로 계속 쫓기게 될 것이다.


by. 콜라비팀 에밀리
협업툴 콜라비 바로가기


by CCL A from http://blog.collabee.co.kr/133

[광고] 절약은 할인에서부터. 카카오페이 50% 할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GV 할인카드, 통신사 할인혜택 총정리

많은 사람들이 휴일이나 주말에 집 주변 가까운 영화관을 찾아서 자신이 보고 싶었던 영화를 관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에는 영화관에 학생들부터 나이드신 사람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영화관을 찾는데요. 전세계적으로 인구 수 대비 영화 상영관의 개수가 아주 많은 나라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영화관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휴일을 맞아 영화관을 찾는 관람객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많은 영화관 중에서 특히 집 주변에 CGV가 있는 경우에 가까운 영화관을 찾기 마련인데요. 우리나라의 영화관람료는 각종 수많은 할인카드와 다양한 할인혜택이 있기 때문에, 할인 받지 않은 금액으로 영화를 보는 경우 호갱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CGV 할인카드, 통신사 할인혜택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텐데요. CGV를 가시는 경우 영화관마다 제공하는 할인카드나 통신사 할인을 이용하시면 영화관람료를 절약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gv 할인카드는 공식홈페이지를 접속하시면 제휴카드 및 할인 신용카드, 체크카드, 통신사 할인 등 아주 다양한 할인혜택이 가능한 카드들이 있기 때문에 검색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신용카드가 없는 젊은 세대들의 경우 KT와 SKT를 통신사 할인으로 현장에서 2,000원 할인이 가능하며, SKT vip 멤버십은 연간 6회의 무료 영화관람의 혜택이 제공되며,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1,000원씩의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cgv 할인카드는 아주 많은 할인카드가 영화관에서 티켓예매를 하기 전에 자신이 소지한 카드를 검색하고 할인혜택을 활용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CGV 할인카드 검색" 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GV 할인카드 전체검색 바로가기◀◀ 그외에도 CGV에서는 매월 할인이벤트도 있기 때문에 위와같은 할인카드가 없더라도 다양한 무료 시사회나 무료관람 등의 할인혜택도 있으니 확인을 하시...

아주 똑똑하게 겨울나기, 난방비 줄이는 꿀팁

아주 똑똑하게 겨울나기 , 난방비 줄이는 꿀팁 어느덧 11 월도 절반이 훌쩍 지나갔습니다 . 점점 추워지는 날씨로 인해 다가오는 겨울 날씨로 인해 난방비 걱정을 하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 겨울철 난방비는 관리비나 생활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가계의 큰 부담이 되는 지출 항목이죠 . 이번 겨울에도 역시 역대급 한파가 예상되는 만큼 미리 대비 하는 것이 좋겠죠 ? 오늘은 다가오는 겨울철 , 난방비 폭탄을 막고 연료소모를 줄여 환경에도 도움이 될 난방비 절약 꿀팁을 알려드릴게요 .   여름엔 더운 날씨 때문에 , 겨울은 추운 날씨 때문에 실내에 냉 · 난방기기를 풀가동 해 놓는 분들이 많습니다 . 하지만 실내 온도는 날씨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는 냉 · 난방비 때문만이 아니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실내 온도가 외부 온도와 지나치게 차이가 나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이죠 .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18~21 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 간혹 , 정말 추운 날은 이 온도가 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많이 나면 인체의 적응력이 떨어져 감기에 쉽게 걸린다고 합니다 . 실내온도를 1 도 낮추면 7% 의 난방비가 절약되며 , 3 도를 낮추면 20% 의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데요 . 20% 의 에너지가 감소되면 연간 2,400 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하니 적정 실내온도를 지키는 것이 좋겠죠 ?     1. 정기적으로 난방기구 점검 및 관리하기 낡은 보일러 배관은 난방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난방비는 많이 나오는데 실내가 따뜻하지 않다면 보일러 내부와 난방 배관을 청소해 보세요 . 보일러 배관을 청소하지 않으면 이물질이 쌓여 온수의 흐름을 막고 난방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답니다 . 보일러 내부 청소는 1 년에 두 번 , 배관 청소는 3 년에 한 번 정도 하는 것이 좋은데요 . 이렇게 하면...